세르베트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베트 FC는 1890년 창단된 스위스 제네바를 연고지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17번의 리그 우승과 8번의 스위스컵 우승을 차지한 스위스 최고 명문 구단 중 하나이다. 1970년대 후반 전성기를 누렸으나, 1990년대 재정 위기를 겪으며 파산하여 3부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다. 이후 재건을 통해 2018-19 시즌 챌린지 리그 우승으로 슈퍼 리그에 복귀했으며, 2022-23 시즌에는 리그 준우승을 기록하며 챔피언스 리그 진출 자격을 얻었다. 세르베트는 현재 스타드 드 제네브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알랭 가이거, 카를하인츠 루메니게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베트 FC - 스타드 드 주네브
스타드 드 주네브는 2003년 개장한 스위스 제네바의 축구 경기장으로, 국제 경기와 아이스하키 경기장으로도 활용되며 유럽의 주요 스포츠 경기장으로 자리매김했다. - 1890년 설립된 축구단 - 파니오니오스 FC
파니오니오스 FC는 1890년 스미르나에서 창단되어 네아 스미르니를 연고로 하는 그리스 축구 클럽으로, 그리스 1부 리그에서 오랜 역사를 보내며 그리스 컵과 발칸컵 우승을 차지했고, 1980년대에는 그리스를 대표하는 공격수들을 배출했다. - 1890년 설립된 축구단 - 보헤미안 FC
보헤미안 FC는 1890년에 창단된 아일랜드 축구 클럽으로, 리그 오브 아일랜드의 창립 멤버이며 1부 리그에서 한 번도 강등되지 않았고, 샴록 로버스와 라이벌 관계를 가진다. - 스위스 슈퍼리그 구단 - FC 취리히
FC 취리히는 1896년 창단되어 스위스 슈퍼리그 13회 우승, 스위스컵 10회 우승을 기록한 스위스 명문 축구 클럽으로,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FC 바젤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며 유러피언컵 준결승 진출, 2000년대 리그 우승 등 부침을 겪으며 스위스 축구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스위스 슈퍼리그 구단 - FC 아라우
FC 아라우는 1902년 창단되어 스위스 챔피언십과 슈퍼리그 우승, 스위스컵 우승 등 여러 차례 국내 대회 우승을 경험한 스위스 축구 클럽으로, 현재는 챌린지리그에서 브룬넨베르그 스타디온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세르베트 FC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Association du Servette Football Club |
별칭 | Les Grenats (레 그르나, 석류석) |
창단 | 1890년 1월 17일 |
경기장 | 스타드 드 주네브 |
수용 인원 | 30,084명 |
소유주 | 1890 재단 |
회장 | 에르베 보흐 |
스포츠 디렉터 | 레네 바일러 |
코치 | 토마스 헤벨리 |
리그 | 스위스 슈퍼리그 |
시즌 | 2023–24 |
순위 | 스위스 슈퍼리그, 3위 (12개 팀 중) |
현재 시즌 | 2024–25 세르베트 FC 시즌 |
웹사이트 | 세르베트 FC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servette2425h pattern_b1: _servette2425h pattern_ra1: _servette2425h pattern_sh1: _servette2425h pattern_so1: _3_stripes_white leftarm1: AA0000 body1: AA0000 rightarm1: AA0000 shorts1: AA0000 socks1: AA0000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servette2425a pattern_b2: _servette2425a pattern_ra2: _servette2425a pattern_sh2: _servette2425a pattern_so2: _servette2425a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세 번째 유니폼 | pattern_la3: _servette2425t pattern_b3: _servette2425t pattern_ra3: _servette2425t pattern_sh3: pattern_so3: leftarm3: 000066 body3: 000066 rightarm3: 000066 shorts3: 000066 socks3: 000066 |
2. 역사
1890년 3월 20일에 창단된 프랑스어 사용 지역 스위스의 가장 유명한 클럽 중 하나이며, 17번의 리그 챔피언십과 7번의 스위스컵을 획득했다. 또한, 스위스 리그가 창설된 이후 2006년에 파산하여 하부 리그로 강등될 때까지 1부 리그에 계속 남아있던 유일한 클럽이었다.
1970년대 후반에 클럽은 황금기를 맞이했다. 1978-79 시즌에는 스트라이커 움베르토 바르베리스/Umberto Barberis영어를 보유하여 스위스 국내 4대 타이틀을 무패로 제패했고, UEFA 컵 위너스 컵에서도 8강에 진출했지만, 독일의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게 패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 클럽은 심각한 재정 위기에 직면했지만, 1996년 12월에 프랑스의 방송국 카날 플뤼 (Canal Plus)에 인수되어 일시적으로 상황이 회복되었다.
그러나 마르크 로지에르 회장의 장기간에 걸친 실책으로 인해 다시 막대한 부채를 안게 되었다. 그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크리스티앙 카람뵈 등의 유명 선수를 영입한 것으로 인해 재정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결국 2004년 9월에는 선수에 대한 급여 미지급 문제가 발생했고, 2005년 2월 4일 클럽은 1000만 스위스 프랑의 부채를 안고 파산하여, 변제를 위해 많은 유망 선수를 매각했다. 또한 제재 조치에 의해 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젊어진 클럽은 2005-06 시즌에 챌린지 리그 (2부 상당)로 승격했고, 2006-07 시즌은 7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2010-11 시즌에는 챌린지 리그를 2위로 마쳤고, 이어진 플레이오프 (승강전)에서 승리하여 슈퍼 리그로의 복귀를 달성했다.
2012-13 시즌에는 리그 최하위로 마무리하여, 챌린지 리그로의 강등이 결정되었다.
2. 1. 초기 (1890년 ~ 2005년)
세르베트 FC는 1890년에 창단되어 17번의 스위스 리그 우승과 7번의 스위스 컵 우승을 차지한, 스위스에서 가장 성공적인 축구 클럽 중 하나이다.[1] 1908년에는 세계 최초의 국제 축구 대회 중 하나인 토르네오 인테르나치오날레 스탐파 스포르티바에서 우승했다. 1930년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의 전신인 1930년 국가컵을 조직하기도 했다.[1]원래 제네바의 세르베트 지역을 기반으로 한 럭비 풋볼 팀인 "풋볼 클럽 드 라 세르베트"로 창단되었으나, 스위스에서 럭비의 인기가 줄어들면서 축구 섹션이 만들어졌고, 1900년 스위스 축구 협회에 통합되었다.[1]
1970년대 후반은 클럽의 황금기였다. 움베르토 바르베리스와 클로드 "디디" 안드리의 지도 아래, 1978–1979 시즌에 스위스 국내 4개 대회에서 모두 우승하는 쾌거를 이루었다.[1] 같은 시즌 UEFA 컵 위너스 컵 8강에 진출했으나, 원정 다득점 규칙에 따라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에게 아쉽게 패배했다.[1] 바르베리스는 이후 1982년에 AS 모나코에서 프랑스 챔피언이 되었다.
1990년대에 클럽은 심각한 재정 위기를 겪었지만, 1996년 프랑스의 방송국 카날 플뤼에 인수되어 일시적으로 회복되었다. 그러나 마르크 로지에르 회장의 장기적인 실책으로 다시 막대한 부채를 안게 되었고, 크리스티앙 카람뵈 등의 유명 선수 영입은 재정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결국 2004년 9월 선수 급여 미지급 문제가 발생했고, 2005년 2월 4일 클럽은 1000만 스위스 프랑의 부채를 안고 파산했다.[1] 그 결과, 많은 유망 선수를 매각해야 했고, 제재 조치로 인해 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2. 2. 파산과 재건 (2005년 ~ 2018년)
1990년대부터 세르베트는 재정난에 시달렸다. 1996년 12월 프랑스의 방송국 카날 플뤼에 인수되어 일시적으로 상황이 회복되는 듯했으나, 마르크 로지에르 회장의 장기간에 걸친 실책으로 인해 다시 막대한 부채를 안게 되었다. 크리스티앙 카람뵈 등 유명 선수 영입은 재정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결국 2004년 9월 선수에 대한 급여 미지급 문제가 발생했고, 2005년 2월 4일 클럽은 1000만 스위스 프랑의 부채를 안고 파산했다.[2] 이로 인해 세르베트는 3부 리그인 스위스 1부 리그로 강등되었고,[2] 변제를 위해 많은 유망 선수를 매각해야 했다.파산 이후, 세르베트 U-21팀이 클럽 이름을 이어받아 1부 리그에서 활동하게 되었다.[2] 2005-06 시즌, 세르베트는 챌린지 리그(2부 리그)로 승격했다. 2010-11 시즌에는 챌린지 리그 2위를 차지하여 AC 벨린초나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 합계 3-2로 승리하며 슈퍼 리그로 복귀했다.[3]
2011년 여름, 세르베트는 슈퍼 리그 승격에도 불구하고 바로카, 이사가 디알로, 카를루스 살레이루 등을 영입하는 데 그쳤다.[4] 벤피카에서 이스마엘 야르테이[5]와 로데릭 미란다[6]를 임대 영입했고, 전 FC 포르투 선수이자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자인 코스티냐를 스포츠 디렉터로 임명했다. 세르베트는 시즌 전반에 걸쳐 FC 취리히, BSC 영 보이즈 등을 상대로 승리하고, 숙적 FC 시옹을 상대로 원정 4-0 승리를 거두는 등 인상적인 결과를 거두었다.[7] 그러나 주앙 알베스 감독이 해고되고 주앙 페레이라로 교체되면서 팬들의 실망을 샀다.[8]
2011년 12월, 세르베트는 선수 급여와 기타 비용을 지불할 수 없다는 보고가 나왔고, 2012년 1월에는 핵심 선수 마티아스 비트키에비에즈가 영 보이즈로 팔렸다.[9] 2012년 2월, 세르베트는 두 번째 파산을 신청했다. 3월 12일, 회장 마지드 피쉬야르는 클럽을 휴 퀘넥이 이끄는 컨소시엄에 매각했다.[10] 클럽은 파산 절차를 벗어나기 위해 한 달의 시간을 받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10]
2012년 4월, 주앙 알베스 감독이 복귀하고, 주앙 페레이라는 해고되었다.[11] 알베스 복귀 후 세르베트는 시즌 마지막 5경기에서 4승 1무를 기록했다.[7] 여기에는 FC 바젤과의 17연패를 끊는 2-1 승리도 포함되었다.[12] 이 승리로 세르베트는 리그 4위를 확보하여 2012-13 UEFA 유로파 리그 예선 2라운드에 진출했다. 2012년 5월 24일, 스위스 축구 리그는 세르베트에 2012-13 시즌 라이선스를 부여하며 재정적 어려움이 끝났음을 알렸다.[13]
세르베트는 2012-13 UEFA 유로파 리그 예선 2라운드에서 간자사르 FC를 5-1로 꺾고 3차 예선에 진출했으나, 로젠보르그 BK에 원정 골로 탈락했다. 리그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2013년 5월 FC 로잔-스포르에게 3-0으로 패하며 113년 역사상 처음으로 (스포츠적인 이유로) 강등되었다.[24]
2014-15 스위스 챌린지 리그에서 2위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스 축구 리그는 세르베트 FC에게 챌린지 리그 라이선스를 거부하여 2015-16 시즌 동안 1부 승격 리그(3부)에서 뛰게 되었다.[26] 2015년 6월, 세르베트 FC는 새로운 소유주인 1890 재단을 갖게 되었다.[27]
2. 3. 2018년 이후 ~ 현재
2018년, 세르베트는 알랭 가이거를 감독으로 선임하여, 2위 FC 아라우를 15점 차로 따돌리고 2018-19 챌린지 리그에서 우승하며 스위스 슈퍼 리그로 복귀했다.[30] 이후 15년 만에 재정, 경영, 스포츠 면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며, 스위스 슈퍼 리그에서 2019-20 시즌 4위, 2020-21 시즌 3위, 2021-22 시즌 6위, 2022-23 시즌 2위를 기록했다. 이러한 성적을 바탕으로, 세르베트는 챔피언스 리그 진출 자격을 얻게 되었다.2023년 3월 20일, 세르베트는 알랭 가이거 감독과의 결별을 발표하고, 2023-2024 시즌부터 르네 바일러가 감독직을 맡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31] 바일러는 세르베트를 2001년 이후 처음으로 스위스 컵 결승으로 이끌었으며,[32] 2024년 6월 2일, 컵 결승전에서 FC 루가노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23년 만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33]
2024년 6월 10일, 구단은 새로운 조직 구조를 발표하면서 바일러는 수석 코치 자리에서 물러나 스포츠 디렉터로 보직을 변경했고,[34] 후임 수석 코치로는 토마스 하버리가 임명되었다. 에르베 보흐가 새로운 회장으로 취임하였다.
3. 경기장
세르베트의 홈 구장은 스타드 드 제네브이다. 3년간의 공사 끝에 2003년 3월 16일에 개장했으며, 개장 경기는 세르베트와 BSC 영 보이즈 간에 치러졌다. 30,084석의 전 좌석을 갖춘 제네바 스타디움은 스위스에서 세 번째로 큰 경기장이며, 2008년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3개의 조별 리그 경기를 개최했다.
현재 홈 경기장은 스타드 드 제네브이다. 3년의 건설 기간을 거쳐 2003년 3월 16일에 완공되었다. 첫 경기는 세르베트 대 BSC 영 보이즈의 대결이었다. 이 경기장은 스위스 국내에서 3번째로 큰 경기장으로, 전 좌석 좌석제로 30,084명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2008년에 개최된 유로 2008에서는 A조 3경기가 치러졌다.
세르베트는 2003년에 이전 구장인 스타드 데 샤르미유에서 제네바 스타디움으로 이전했다. 샤르미유는 1930년 6월 28일에 개장했으며, 첫 경기에는 1930년 국가컵 첫 경기에서 14,000명의 관중이 모였다. 공식 수용 인원은 최대 30,000명이었지만, 1951년 10월 14일에 열린 스위스와 프랑스 간의 국제 경기에는 기록적인 40,0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1977년에 조명탑이 설치되었고 1983년에는 관람석이 완전히 덮였다. 1980년대부터 수용 인원은 점차 감소하여 1985년에는 20,000명, 1998년에는 전 좌석으로 변경되면서 9,250명으로 줄었다.
스타드 드 제네브 완공 이전에는 스타드 데 샤르미유 (Stade des Charmilles)를 사용했다. 첫 경기는 1930년 6월 28일에 14,000명의 관중을 모아 열렸다. 공식 수용 인원은 30,000명으로 알려져 있지만, 1951년 10월 14일에 스위스와 프랑스 간의 경기에서는 40,000명의 관중을 수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후 경비 및 안전 문제로 인해 입석을 폐지하고 좌석으로 교체하는 개수 공사가 이루어졌으며, 1985년에는 수용 인원이 20,000명으로 감소했다. 1998년에 마지막 개수가 이루어져 전 좌석 좌석제가 되었을 때는 9,250명까지 감소했다.
새 경기장 건설 계획은 1984년, 샤르미유가 점점 더 노후화되고 낡아짐에 따라 처음 시작되었다. 1992년에 프로젝트 위원회가 설립되어, 4년 동안 경기장을 재건하거나 제네바의 다른 지역에 새 경기장을 건설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한편, 더 실질적인 계획이 구체화되지 않으면서, 1995년 주 관람석인 "Tribune A"가 안전하지 않다고 선언되고 폐쇄되면서 낡은 경기장의 열악한 상태가 드러났다. 이듬해에 개축 공사가 시작되어 주 관람석이 다시 개장하고 경기장 전체에 좌석이 설치되었다. 세르베트는 샤르미유에서 경기를 치르는 동안 또 다른 스위스 챔피언십과 컵 트로피를 확보했고, 2000년에 새로운 제네바 스타디움 건설이 마침내 시작되었다. 마지막 경기는 2002년 12월 8일 만원 관중 앞에서 치러졌다.
3. 1. 스타드 드 제네브
현재 홈 경기장은 스타드 드 제네브이다. 3년의 건설 기간을 거쳐 2003년 3월 16일에 완공되었으며, 첫 경기는 세르베트 대 BSC 영 보이즈의 경기였다. 이 경기장은 전 좌석 좌석제로 30,084명을 수용할 수 있는 스위스에서 3번째로 큰 경기장이다. 유로 2008 A조 3경기가 이 곳에서 치러졌다.
스타드 드 제네브가 완공되기 전에는 스타드 데 샤르미유가 사용되었다. 1930년 6월 28일 14,000명의 관중 앞에서 첫 경기가 열렸다. 공식 수용 인원은 30,000명이었으나, 1951년 10월 14일 스위스와 프랑스 간의 경기에서는 40,000명의 관중이 입장하기도 했다. 이후 경비 및 안전 문제로 인해 1985년에는 수용 인원이 20,000명으로 감소했고, 1998년 전 좌석 좌석제가 되면서 9,250명까지 감소했다.
1992년 새 경기장 건설 계획을 위한 프로젝트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1995년 안전 문제로 인해 기존 경기장 개축 대신 새 경기장 건설이 결정되었다. 2000년 건설이 시작되어 3년 동안 세르베트는 스위스 리그와 컵 트로피를 각각 한 번씩 획득했다. 2002년 12월 8일 만원 관중 앞에서 스타드 데 샤르미유에서의 마지막 경기가 열렸다.
3. 2. 스타드 데 샤르미유
1930년 6월 28일 14,000명의 관중을 모으며 첫 경기가 열린 스타드 데 샤르미유는 2002년까지 세르베트 FC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다. 공식 수용 인원은 30,000명이었으나, 1951년 10월 14일 스위스와 프랑스 간의 경기에서는 40,000명의 관중이 입장한 기록이 있다.이후 경기장 시설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경비 및 안전 문제로 입석이 좌석으로 교체되면서 1985년에는 수용 인원이 20,000명으로 감소했고, 1998년 전 좌석 좌석제가 도입되면서 9,250명까지 감소했다.
1990년대 이후 경기장 노후화로 인해 새로운 경기장 건설 계획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1992년 프로젝트 위원회가 설립되어 기존 경기장 개축과 신축 두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1995년 안전 문제로 개축안은 기각되고 신축이 결정되었다. 2000년 스타드 드 제네브 건설이 시작되었고, 2002년 12월 8일 만원 관중 앞에서 스타드 데 샤르미유에서의 고별 경기가 열렸다.
4. 선수단
wikitext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30일 기준)'''[35]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조엘 몰 | 조엘 몰/Joël Mall영어 |
3 | DF | 츠네모토 케이고 | 츠네모토 케이고/Keigo Tsunemoto일본어 |
5 | MF | 가엘 온두아 | 가엘 온두아/Gaël Ondoua영어 |
6 | DF | 앙토니 바론 | 앙토니 바론/Anthony Baron프랑스어 |
8 | MF | 티모테 코냐 | 티모테 코냐/Timothé Cognat프랑스어 |
9 | MF | 미로슬라프 스테바노비치 | 미로슬라프 스테바노비치/Miroslav Stevanović영어 |
18 | DF | 브래들리 마지코우 | 브래들리 마지코우/Bradley Mazikou프랑스어 |
19 | DF | 요안 세버린 | 요안 세버린/Yoan Severin프랑스어 |
28 | MF | 다비드 둘린 | 다비드 둘린/David Douline프랑스어 |
31 | FW | 티에모코 우아타라 | 티에모코 우아타라/Thiemoko Ouattara프랑스어 |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8월 30일 기준)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35]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조엘 몰 | 조엘 몰/Joël Mall영어 |
3 | DF | 츠네모토 케이고 | 츠네모토 케이고/Keigo Tsunemoto일본어 |
5 | MF | 가엘 온두아 | 가엘 온두아/Gaël Ondoua영어 |
6 | DF | 앙토니 바론 | 앙토니 바론/Anthony Baron프랑스어 |
8 | MF | 티모테 코냐 | 티모테 코냐/Timothé Cognat프랑스어 |
9 | MF | 미로슬라프 스테바노비치 | 미로슬라프 스테바노비치/Miroslav Stevanović영어 |
18 | DF | 브래들리 마지코우 | 브래들리 마지코우/Bradley Mazikou프랑스어 |
19 | DF | 요안 세버린 | 요안 세버린/Yoan Severin프랑스어 |
28 | MF | 다비드 둘린 | 다비드 둘린/David Douline프랑스어 |
31 | FW | 티에모코 우아타라 | 티에모코 우아타라/Thiemoko Ouattara프랑스어 |
4. 2. 임대 선수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임대 구단 | 임대 기간 |
---|---|---|---|---|---|
DF | 발톤 베흐라미 | 들레몽 | 2024년 12월 31일까지 | ||
MF | 시디키 카마라 | 에투알 카루주 | 2025년 6월 30일까지 | ||
FW | 알렉산더 링 | 쇠네르예스케 | 2025년 6월 30일까지 |
4. 3. 세르베트 U-21
세르베트 FC U-21 팀은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선수들의 국적, 번호, 포지션, 이름을 아래 표와 같이 구성한다.[41]{| class="wikitable"
|-
! 번호 !! 국적 !! 포지션 !! 이름
|-
| 1 || 조엘 몰/조엘 몰cy || GK || 조엘 몰
|-
| 3 || 츠네모토 케이고/츠네모토 케이고일본어 || DF || 츠네모토 케이고
|-
| 5 || 가엘 온두아/가엘 온두아cm || MF || 가엘 온두아
|-
| 6 || 앙토니 바론/앙토니 바론gp || DF || 앙토니 바론
|-
| 8 || 티모테 코냐/티모테 코냐프랑스어 || MF || 티모테 코냐
|-
| 9 || 미로슬라프 스테바노비치/미로슬라프 스테바노비치bs || MF || 미로슬라프 스테바노비치
|-
| 18 || 브래들리 마지코우/브래들리 마지코우cg || DF || 브래들리 마지코우
|-
| 19 || 요안 세버린/요안 세버린프랑스어 || DF || 요안 세버린
|-
| 28 || 다비드 둘린/다비드 둘린프랑스어 || MF || 다비드 둘린
|-
| 31 || 티에모코 우아타라/티에모코 우아타라ci || FW || 티에모코 우아타라
|-
|style="background-color:#FFFFFF;vertical-align:top;"|
감독 | 임기 |
---|---|
테디 덕워스 | 1919–1929, 1930 |
카를 라판 | 1932–35, 1948–53, 1954–57 |
레오 바이스/Leo Weiszde | 1935–36 |
앙드레 아베글렌 | 1937–42 |
페르낭 자카르 | 1943–48 |
장 스넬라 | 1959–63, 1967–71 |
벨라 구트만 | 1966–67 |
위르겐 준더만 | 1972–76 |
페테르 파즈만디 | 1976–82, 1989–90 |
뤼트 크롤 | 1990년 3월–1990년 6월 |
일리야 페트코비치 | 1993년 3월–1995년 3월 |
보슈코 주로프스키 | 1999 |
뤼시앵 파브르 | 2000년 7월–2002년 6월 |
알랭 가이거 | 2018년 5월–2018년 5월 23일 |
르네 바일러 | 2023년 6월–2024년 6월 |
토마스 해버리 | 2024년 6월–현재 |
그 외에, 움베르토 발베리스, 브야딘 보슈코프, 로베르토 몰리니니, 장-미셸 아비, 미셸 소티에, 제라르 카스텔라, 윌리엄 니더하우저, 조앙 아우베스, 조앙 카를로스 페레이라, 세바스티안 풀니에, 마리오 칸탈루피, 케빈 쿠퍼, 티에리 코팅, 앙토니 브레이자, 메호 코드로 등이 세르베트 FC의 감독을 역임했다.
7. 우승 기록
'''국내 대회'''
- 스위스 슈퍼 리그: 우승 17회 (1907, 1918, 1922, 1925, 1926, 1930, 1933, 1934, 1940, 1946, 1950, 1961, 1962, 1979, 1985, 1994, 1999)[36]
- 스위스 슈퍼 리그: 준우승 17회 (1905–06, 1909–10, 1914–15, 1918–19, 1919–20, 1934–35, 1943–44, 1965–66, 1975–76, 1976–77, 1977–78, 1981–82, 1982–83, 1983–84, 1987–88, 1997–98, 2022–23)[36]
- 스위스컵: 우승 8회 (1928, 1949, 1971, 1978, 1979, 1984, 2001, 2023–24)[36]
- 스위스컵: 준우승 12회 (1934, 1936, 1938, 1941, 1959, 1965, 1966, 1976, 1983, 1986, 1987, 1996)[36]
- 스위스 리그컵: 우승 3회 (1977, 1979, 1980) '''(최다)'''[36]
- 스위스 챌린지 리그: 우승 1회 (2018–19)
- 스위스 챌린지 리그: 준우승 2회 (2010–11, 2014–15)
- 1. 리가 프로모션: 우승 1회 (2015–16)
- 토르네오 인터나치오날레 스탐파 스포르티바: 우승 1회 (1908)
- 스타드 프랑세와 클럽 프랑세 신년 토너먼트: 우승 1회 (1925)[36]
- 스위스 슈퍼 리그 페어 플레이 트로피: 2022–23[37]
'''국제 대회'''
- 알프스컵: 우승 4회 (1973, 1975, 1976, 1979)
7. 1. 국내 대회
스위스 슈퍼 리그에서 세르베트 FC는 17번 우승했다. (1907, 1918, 1922, 1925, 1926, 1930, 1933, 1934, 1940, 1946, 1950, 1961, 1962, 1979, 1985, 1994, 1999). 또한, 1905–06 시즌을 시작으로, 2022-23 시즌까지 총 17번의 준우승을 기록했다. 스위스컵에서는 2023-24 시즌을 포함하여 8번 우승했다., 1933-34 시즌을 시작으로, 1995-96 시즌까지 총 12번의 준우승을 기록했다. 스위스 리그컵에서는 3회 우승(1977, 1979, 1980)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그 외 스위스 챌린지 리그에서는 1회 (2018–19) 우승과, 2회 (2010–11, 2014–15) 준우승을 차지했다. 1. 리가 프로모션 우승 1회(2015–16), 토르네오 인터나치오날레 스탐파 스포르티바 우승 1회 (1908), 스타드 프랑세와 클럽 프랑세 신년 토너먼트 우승 1회 (1925) 기록과 스위스 슈퍼 리그 페어 플레이 트로피(2022–23)를 수상 했다.[37]7. 2. 국제 대회
세르베트 FC는 알프스컵에서 1973년, 1975년, 1976년, 1979년에 우승하여 총 4회 우승을 기록했다. 또한 토르네오 인터나치오날레 스탐파 스포르티바에서 1908년에 우승하였다. 1925년에는 스타드 프랑세와 클럽 프랑세 신년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36]8. 유럽 대항전 기록
wikitext
'''UEFA 컵 위너스 컵'''
- 8강: 1966-67, 1978-79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 16강: 2023-24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 홈 | 원정 | 합계 |
---|---|---|---|---|---|---|
1955–56 | 유러피언컵 | 1라운드 | 레알 마드리드 | 0–2 | 0–5 | 0–7 |
1961–62 | 유러피언컵 | 예선 라운드 | 히버니언스 | 5–0 | 2–1 | 7–1 |
1라운드 | 두클라 프라하 | 4–3 | 0–2 | 4–5 | ||
1962–63 | 유러피언컵 | 예선 라운드 | 페예노르트 | 1–3 | 3–1 | 4–4 |
1963–64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1라운드 | 스파르타크 브르노 | 1–2 | 0–5 | 1–7 |
1964–65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1라운드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2–2 | 1–6 | 3–8 |
1965–66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2라운드 | AIK | 4–1 | 1–2 | 5–3 |
3라운드 | 1860 뮌헨 | 1–1 | 1–4 | 2–5 | ||
1966–67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Åbo IFK | 1–1 | 2–1 | 3–2 |
2라운드 | 스파르타 로테르담 | 2–0 | 0–1 | 2–1 | ||
8강 | 슬라비아 소피아 | 1–0 | 0–3 | 1–3 | ||
1967–68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1라운드 | 1860 뮌헨 | 2–2 | 0–4 | 2–6 |
1971–72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리버풀 | 2–1 | 0–2 | 2–3 |
1974–75 | UEFA컵 | 1라운드 | 더비 카운티 | 1–2 | 1–4 | 2–6 |
1976–77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예선 라운드 | 카디프 시티 | 2–1 | 0–1 | 2–2 (a) |
1977–78 | UEFA컵 | 1라운드 | 아틀레틱 빌바오 | 1–0 | 0–2 | 1–2 |
1978–79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PAOK | 4–0 | 0–2 | 4–2 |
2라운드 | 낭시 | 2–1 | 2–2 | 4–3 | ||
8강 |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 1–1 | 0–0 | 1–1 (a) | ||
1979–80 | 유러피언컵 | 1라운드 | 베베렌 | 3–1 | 1–1 | 4–2 |
2라운드 | BFC 디나모 | 2–2 | 1–2 | 3–4 | ||
1980–81 | UEFA컵 | 1라운드 | 소쇼 | 2–1 | 0–2 | 2–3 |
1982–83 | UEFA컵 | 1라운드 | 프로그레스 니더콘 | 3–0 | 1–0 | 4–0 |
2라운드 | 실롱스크 브로츠와프 | 5–1 | 2–0 | 7–1 | ||
3라운드 | 보헤미안스 | 2–2 | 1–2 | 3–4 | ||
1983–84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아베니르 베겐 | 4–0 | 5–1 | 9–1 |
2라운드 | 샤흐타르 도네츠크 | 1–2 | 0–1 | 1–3 | ||
1984–85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APOEL | 3–1 | 3–0 | 6–1 |
2라운드 | AEL | 0–1 | 1–2 | 1–3 | ||
1985–86 | 유러피언컵 | 1라운드 | 린필드 | 2–1 | 2–2 | 4–3 |
2라운드 | 애버딘 | 0–0 | 0–1 | 0–1 | ||
1988–89 | UEFA컵 | 1라운드 | 슈투름 그라츠 | 1–0 | 0–0 | 1–0 |
2라운드 | 흐로닝언 | 1–1 | 0–2 | 1–3 | ||
1993–94 | UEFA컵 | 1라운드 | 크루세이더스 | 4–0 | 0–0 | 4–0 |
2라운드 | 보르도 | 0–1 | 1–2 | 1–3 | ||
1994–95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라운드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1–1 | 1–4 | 2–5 |
1998–99 | UEFA컵 | 예선 2라운드 | KFC 게르미날 에케렌 | 1–2 | 4–1 | 5–3 |
1라운드 | CSKA 소피아 | 2–1 | 0–1 | 2–2 (a) | ||
1999–2000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3라운드 | 슈투름 그라츠 | 2–2 | 1–2 | 3–4 |
UEFA컵 | 1라운드 | 아리스 | 1–2 | 1–1 | 2–3 | |
2001–02 | UEFA컵 | 1라운드 | 슬라비아 프라하 | 1–0 | 1–1 | 2–1 |
2라운드 | 사라고사 | 1–0 | 0–0 | 1–0 | ||
3라운드 | 헤르타 BSC | 0–0 | 3–0 | 3–0 | ||
4라운드 | 발렌시아 | 2–2 | 0–3 | 2–5 | ||
2002–03 | UEFA컵 | 예선 라운드 | 스파르타크 예레반 | 3–0 | 2–0 | 5–0 |
1라운드 | 아미카 브론키 | 2–3 | 2–1 | 4–4 (a) | ||
2004–05 | UEFA컵 | 예선 2라운드 | 우이페슈트 | 0–2 | 1–3 | 1–5 |
2012–13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간자사르 | 2–0 | 3–1 | 5–1 |
예선 3라운드 | 로젠보르그 | 1–1 | 0–0 | 1–1 (a) | ||
2020–21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1라운드 | 루좀베로크 | 3–0 | – | 3–0 |
예선 2라운드 | 랭스 | 0–1 | – | 0–1 | ||
2021–22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몰데 | 2–0 | 0–3 | 2–3 |
2023–24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헹크 | 1–1 | 2–2 | 3–3 |
예선 3라운드 | 레인저스 | 1–1 | 1–2 | 2–3 | ||
UEFA 유로파 리그 | 조별 리그 | 로마 | 1–1 | 0−4 | 3위 | |
슬라비아 프라하 | 0−2 | 0−4 | ||||
셰리프 티라스폴 | 2–1 | 1–1 |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플레이오프 |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 0–0 | 1–0 | 1–0 | |
16강 | 빅토리아 플젠 | 0–0 | 0–0 | 0–0 | ||
2024–25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3라운드 | 브라가 | 1−2 | 0–0 | 1–2 |
UEFA 컨퍼런스 리그 | 플레이오프 | 첼시 | 2–1 | 0−2 | 2−3 |
8. 1. 대회별 기록
대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UEFA 챔피언스 리그 | 24 | 6 | 9 | 9 | 36 | 42 |
UEFA 유로파 리그 | 46 | 19 | 11 | 16 | 62 | 48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2 | 1 | 0 | 1 | 2 | 3 |
UEFA 컵 위너스 컵 | 24 | 11 | 4 | 9 | 36 | 25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10 | 1 | 3 | 6 | 13 | 29 |
합계 | 106 | 38 | 26 | 42 | 149 | 149 |
'''경기''' = 치른 경기; '''승''' = 승리; '''무''' = 무승부; '''패''' = 패배; '''득점''' = 득점; '''실점''' = 실점. 단종된 대회는 이탤릭체로 표시.
8. 2. 시즌별 기록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 홈 | 원정 | 합계 | |
---|---|---|---|---|---|---|---|
1955–56 | 유러피언컵 | 1라운드 | 레알 마드리드 | 0–2 | 0–5 | 0–7 | |
1961–62 | 유러피언컵 | 예선 라운드 | 히버니언스 | 5–0 | 2–1 | 7–1 | |
1라운드 | 두클라 프라하 | 4–3 | 0–2 | 4–5 | |||
1962–63 | 유러피언컵 | 예선 라운드 | 페예노르트 | 1–3 | 3–1 | 4–4 | |
1963–64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1라운드 | 스파르타크 브르노 | 1–2 | 0–5 | 1–7 | |
1964–65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1라운드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2–2 | 1–6 | 3–8 | |
1965–66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2라운드 | AIK | 4–1 | 1–2 | 5–3 | |
3라운드 | 1860 뮌헨 | 1–1 | 1–4 | 2–5 | |||
1966–67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Åbo IFK | 1–1 | 2–1 | 3–2 | |
2라운드 | 스파르타 로테르담 | 2–0 | 0–1 | 2–1 | |||
8강 | 슬라비아 소피아 | 1–0 | 0–3 | 1–3 | |||
1967–68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1라운드 | 1860 뮌헨 | 2–2 | 0–4 | 2–6 | |
1971–72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리버풀 | 2–1 | 0–2 | 2–3 | |
1974–75 | UEFA컵 | 1라운드 | 더비 카운티 | 1–2 | 1–4 | 2–6 | |
1976–77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예선 라운드 | 카디프 시티 | 2–1 | 0–1 | 2–2 (a) | |
1977–78 | UEFA컵 | 1라운드 | 아틀레틱 빌바오 | 1–0 | 0–2 | 1–2 | |
1978–79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PAOK | 4–0 | 0–2 | 4–2 | |
2라운드 | 낭시 | 2–1 | 2–2 | 4–3 | |||
8강 |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 1–1 | 0–0 | 1–1 (a) | |||
1979–80 | 유러피언컵 | 1라운드 | 베베렌 | 3–1 | 1–1 | 4–2 | |
2라운드 | BFC 디나모 | 2–2 | 1–2 | 3–4 | |||
1980–81 | UEFA컵 | 1라운드 | 소쇼 | 2–1 | 0–2 | 2–3 | |
1982–83 | UEFA컵 | 1라운드 | 프로그레스 니더콘 | 3–0 | 1–0 | 4–0 | |
2라운드 | 실롱스크 브로츠와프 | 5–1 | 2–0 | 7–1 | |||
3라운드 | 보헤미안스 | 2–2 | 1–2 | 3–4 | |||
1983–84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아베니르 베겐 | 4–0 | 5–1 | 9–1 | |
2라운드 | 샤흐타르 도네츠크 | 1–2 | 0–1 | 1–3 | |||
1984–85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1라운드 | APOEL | 3–1 | 3–0 | 6–1 | |
2라운드 | AEL | 0–1 | 1–2 | 1–3 | |||
1985–86 | 유러피언컵 | 1라운드 | 린필드 | 2–1 | 2–2 | 4–3 | |
2라운드 | 애버딘 | 0–0 | 0–1 | 0–1 | |||
1988–89 | UEFA컵 | 1라운드 | 슈투름 그라츠 | 1–0 | 0–0 | 1–0 | |
2라운드 | 흐로닝언 | 1–1 | 0–2 | 1–3 | |||
1993–94 | UEFA컵 | 1라운드 | 크루세이더스 | 4–0 | 0–0 | 4–0 | |
2라운드 | 보르도 | 0–1 | 1–2 | 1–3 | |||
1994–95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라운드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1–1 | 1–4 | 2–5 | |
1998–99 | UEFA컵 | 예선 2라운드 | KFC 게르미날 에케렌 | 1–2 | 4–1 | 5–3 | |
1라운드 | CSKA 소피아 | 2–1 | 0–1 | 2–2 (a) | |||
1999–2000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3라운드 | 슈투름 그라츠 | 2–2 | 1–2 | 3–4 | |
UEFA컵 | 1라운드 | 아리스 | 1–2 | 1–1 | 2–3 | ||
2001–02 | UEFA컵 | 1라운드 | 슬라비아 프라하 | 1–0 | 1–1 | 2–1 | |
2라운드 | 사라고사 | 1–0 | 0–0 | 1–0 | |||
3라운드 | 헤르타 BSC | 0–0 | 3–0 | 3–0 | |||
4라운드 | 발렌시아 | 2–2 | 0–3 | 2–5 | |||
2002–03 | UEFA컵 | 예선 라운드 | 스파르타크 예레반 | 3–0 | 2–0 | 5–0 | |
1라운드 | 아미카 브론키 | 2–3 | 2–1 | 4–4 (a) | |||
2004–05 | UEFA컵 | 예선 2라운드 | 우이페슈트 | 0–2 | 1–3 | 1–5 | |
2012–13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2라운드 | 간자사르 | 2–0 | 3–1 | 5–1 | |
예선 3라운드 | 로젠보르그 | 1–1 | 0–0 | 1–1 (a) | |||
2020–21 | UEFA 유로파 리그 | 예선 1라운드 | 루좀베로크 | 3–0 | – | 3–0 | |
예선 2라운드 | 랭스 | 0–1 | – | 0–1 | |||
2021–22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몰데 | 2–0 | 0–3 | 2–3 | |
2023–24 | UEFA 챔피언스 리그 | 예선 2라운드 | 헹크 | 1–1 | 2–2 | 3–3 | |
예선 3라운드 | 레인저스 | 1–2 | 로마 | 0−4 | 슬라비아 프라하 | 0−2 | 0−4 |
셰리프 티라스폴 | 2–1 | 루도고레츠 라즈그라드 | 0–0 | 1–0 | 1–0 | ||
16강 | 빅토리아 플젠 | 0–0 | 0–0 | 브라가 | 1−2 | 0–0 | 1–2 |
UEFA 컨퍼런스 리그 | 플레이오프 | 첼시 | 2–1 | 0−2 | 2−3 |
8. 3. UEFA 팀 랭킹
2023년 6월 기준 UEFA 팀 랭킹에서 세르베트 FC는 6.335점으로 212위를 기록했다.[38] 같은 점수로 루가노, 루체른, 장크트갈렌, 툰과 같은 스위스 클럽들이 210위부터 214위까지 랭크되어 있다.[38]
참조
[1]
웹사이트
Histoire du Servette FC
https://servettefc.c[...]
servettefc.ch
2022-10-24
[2]
뉴스
Final curtain for Servette
http://www.uefa.com/[...]
UEFA
2012-05-25
[3]
뉴스
Servette FC en Super League!
http://archives.tdg.[...]
Tribune De Geneve
2011-05-31
[4]
뉴스
Conference de Press
http://www.servettef[...]
Servette FC
2012-05-25
[5]
뉴스
Yartey prêté par Benfica à Servette
http://archives.tdg.[...]
Tribune De Geneve
2012-05-25
[6]
뉴스
Roderick: "Servette, c'est une décision évidente"
http://journal.tdg.c[...]
Tribune De Geneve
2011-09-06
[7]
뉴스
Servette Football Club Calandrier 2011–12
http://www.servettef[...]
Servette FC
2012-05-25
[8]
뉴스
Servette remercie son entraineur
http://www.20min.ch/[...]
20 Minutes
2012-05-25
[9]
뉴스
Vitkieviez à Young Boys
http://www.lematin.c[...]
Le Matin
2012-05-25
[10]
뉴스
Communiqué de presse
http://www.servettef[...]
Servette FC
2012-05-25
[11]
뉴스
Surprise: Hugh Quennec rappelle Alves à la tête du Servette FC!
http://www.tdg.ch/sp[...]
Tribune De Geneve
2012-05-25
[12]
뉴스
Extraordinaire apothéose pour un Servette follement européen
http://www.tdg.ch/sp[...]
Tribune De Geneve
2012-05-25
[13]
뉴스
Le Servette FC obtient sa licence 2012–2013
http://www.tdg.ch/ge[...]
Tribune De Geneve
2012-05-25
[14]
뉴스
Calendrier 2012–13
http://www.servettef[...]
Servette FC
2012-05-25
[15]
뉴스
Servette: Tréand a signé pour trois ans
http://www.tdg.ch/sp[...]
Tribune De Geneve
2012-06-18
[16]
뉴스
Alexandre Pasche signe à Servette pour trois ans
http://www.lematin.c[...]
Le Matin
2012-06-20
[17]
뉴스
Mfuyi de retour pour 2 saisons
http://www.servettef[...]
Servette FC
2012-06-21
[18]
뉴스
Kevin Gissi en grenat pour une saison
http://www.servettef[...]
Servette FC
[19]
뉴스
Le Servette FC engage le milieu Simone Grippo pour les trois prochaines saisons
http://www.rts.ch/sp[...]
RTS.ch
2012-07-16
[20]
뉴스
Mike Gomes rejoint le Servette FC
http://www.servettef[...]
Servette
2012-07-24
[21]
뉴스
Samir Ramizi en grenat pour 3 saisons
http://www.servettef[...]
Servette
2012-07-24
[22]
뉴스
Kusunga redevient Servettien
http://www.lematin.c[...]
Le Matin
2012-06-25
[23]
뉴스
Lang suit Pasche à Servette
http://www.lematin.c[...]
Le Matin
2012-06-29
[24]
뉴스
Triste sort pour Servette, relégué en Challenge League
http://www.tdg.ch/sp[...]
Tribune de Geneve
2016-04-11
[25]
뉴스
Wohlen vs. Servette 1–2
https://int.soccerwa[...]
Soccerway
2018-02-21
[26]
뉴스
Servette FC booted from local league
http://www.thelocal.[...]
The Local
2016-04-11
[27]
웹사이트
Servette FC press conference 17.06.2015
http://www.servettef[...]
2016-01-19
[28]
웹사이트
Servette FC news release 03.11.2015
http://www.servettef[...]
2016-01-19
[29]
웹사이트
Servette FC news release, 18.01.2016
http://www.servettef[...]
2016-01-19
[30]
웹사이트
Detailrangliste
https://www.sfl.ch/s[...]
2021-12-30
[31]
웹사이트
René Weiler sera le prochain entraîneur du Servette FC
https://servettefc.c[...]
Servette FC
2023-09-30
[32]
웹사이트
Schweizer Cup Männer: Cognat schiesst Servette in den Final
https://www.football[...]
Swiss Football Association
2024-04-29
[33]
웹사이트
Männer-Cupfinal: Servette FC erstmals seit 23 Jahren Cupsieger
https://www.football[...]
Swiss Football Association
2024-06-03
[34]
웹사이트
Communiqué officiel du Servette FC
https://servettefc.c[...]
Servette FC
2024-06-11
[35]
웹사이트
Effectif
https://servettefc.c[...]
2023-06-06
[36]
웹사이트
International Tournaments (Paris) 1904–1935: Tournoi de Pentecôte de Paris
https://www.rsssf.or[...]
2009
[37]
웹사이트
Fair Play Trophy geht nach Genf und Vaduz
https://www.sfl.ch/n[...]
2023-06-14
[38]
웹사이트
Club coefficients | UEFA Coefficients
https://www.uefa.com[...]
[39]
웹사이트
SERVETTE F. C. – Trainer
http://www.super-ser[...]
Super-Servette
[4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servettef[...]
[41]
웹사이트
Effectif
https://servettefc.c[...]
2022-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